(TGN 땡큐굿뉴스=김정은 기자) ‘효’와 ‘뿌리’로 통하는 가족과 세대 공감 축제 ‘제16회 대전효문화뿌리축제’가 끝났다. 육군 군악대가 이끄는 110개 문중 4,000여 명이 참여한 ‘문중퍼레이드’는 축제의 백미였다.
문중별 역사 인물과 전통을 재해석해 우리의 성씨 ‘뿌리’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를 마련했다. 244개 성씨조형물이 조성되어 있는 만성산과 함께 ‘뿌리축제’의 전통을 시민들이 느끼고, 경험하는 소중한 기회였다.
‘제16회 대전효문화뿌리축제’는 지난해에 이어 지역 주민과 문화예술인, 소상공인들이 축제의 주인공이 됐다. 축제의 대상이 아닌 축제를 만드는 주인으로 시민들을 만났다.
올해는 중구 지역화폐 ‘중구통’이 축제의 주요 결제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지역 상생문화축제를 표방해 온 중구의 축제 정통성이 더 명확해졌다. 전국 유일의 효를 테마로 한 축제이자, 지역의 문화·예술의 전통을 함께 즐기는 축제로 성장하고 있다. 대전지역에서 유일하게 문화체육관광부 예비 축제로 선정된 이유를 증명했다.
30여 개에 이르는 다양한 프로그램은 축제를 참가한 관람객들에게 ‘효’와 ‘뿌리’를 통해 세대 간 공감 축제를 즐기기에 충분했다. 특히 244개 성씨 조형물이 조성된 ‘뿌리공원’은 이번 제16회 대전효문화뿌리축제를 통해 다시 한번 ‘뿌리축제’의 근간임을 각인시켰다.
개막식과 함께 진행한 ‘중구 명문가 선정식’은 효문화뿌리축제를 통해 중구의 자긍심과 전통을 잇는 새로운 상징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제2대 중구 명문가는 40여년 중구를 지키며 나눔과 봉사 활동에 헌신한 ‘제일화방’ 김영기 가문이 선정돼 의미를 더했다.
깊어진 상생문화축제...지역축제의 새 이정표가 된 이번 축제는 40여 개 지역문화예술인들이 참여해 만든 ‘프린지 무대’와 ‘수변무대’ 공연은 지역문화예술인들과 시민들이 축제의 공간에서 함께 호흡하고 공감하는 새로운 축제무대를 연출했다.
본무대를 중심으로 개·폐막식 행사에 초청된 소리꾼 장사익과 중구 출신 트로트 신동 김태웅 군, 가수 김희재, 감성 발라더 조째즈 등의 공연은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공연과 어우러져 축제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다.
유명 연예인 중심의 획일적인 축제 공연에서 벗어나 지역 문화예술인과 상생문화축제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제시해 지역 축제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시켰다.
대전효문화뿌리축제는 지역의 전통문화를 잇는 다양한 기획을 통해 축제의 전통을 만들어가는 점도 인상적이었다. 올해 역시 중구 전통 민속놀이이자 지난해 제65회 한국민속예술제 대통령상을 수상한 ‘버드내보싸움놀이’를 비롯해 ‘부사칠석놀이’, ‘문창동 엿장수 놀이’가 축제 메인무대에서 시연돼 중구다움을 더했다.
개막식 사전공연으로 ‘효’를 재해석한 지역 극단 ‘우금치’의 마당극 ‘청아청아 내딸청아’, 전통한복 프리스타일 모델 선발대회, ‘전국시조창대회’, 문중시화전 등 다양한 전통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장이 마련돼 축제 문화예술 공연의 폭과 깊이를 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