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GN 대전) 50+ 세대가 이전까지 축적한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제2의 커리어를 설계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합니다. ‘50+ 일자리 사업’은 서울시에서 50+ 세대가 이전까지 축적한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제2의 커리어를 설계할 수 있도록 사회공헌일자리, 커리어 전환·취업, 창업·창직 지원 등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사회공헌 일자리(서울시50+보람일자리)] - 대상: 만 50~67세 서울시 거주자 * 서울형 차상위 계층의 경우 만 40~67세 - 내용: 사회공헌 일자리 제공(월 57시간 이내) [앙코르 전직지원] - 대상: 공공·민간기업 퇴직(예정)자 - 내용: 기업별 맞춤형 교육, 1:1 상담, 일·활동 연계 [커리어 전환·취업] ① 서울50+인턴십 - 대상: 만 45~67세 서울시 거주자 - 내용: 파트타임형 인턴십(활동비, 교육실비, 상해보험 등 지원) ② 서울50+뉴딜인턴십 - 대상: 만 45~67세 서울시 거주자 - 내용: 풀타임형 인턴십(인건비, 4대보험, 수당 등 지원) ③ 굿잡5060 - 대상: 만 45세 이상의 서울·경기 지역 퇴직(예정)자 - 내용: 사회적 경제 기업, 스타트업 재취업을 위한 교육·
(TGN 대전) LS전선은 전남 고흥만 수상 태양광발전소(63MW급)에 전력 케이블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는 DC1.5kV 수상 케이블을 비롯해 22.9kV 케이블, 변전소를 연결하는 154kV 케이블 등 발전단지 조성에 필요한 케이블 일체이다. 수상 케이블은 물 위에 부표를 띄워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맞춤형 개발이 필요하다. LS전선은 해저 케이블 제조 노하우를 활용해 수상 태양광용 케이블을 개발해 수상 환경에 적합하도록 제품의 수밀성, 난연성, 내염성, 유연성 등을 확보했다. 또한 수질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케이블이다. LS전선은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뿐만 아니라 LS전선은 국내 최대 태양광 발전단지인 전남 해남군 솔라시도를 비롯해 50여 곳 이상에 태양광 케이블을 공급하며, 시장을 확대해 가고 있다.
(TGN 대전) 알리바바 그룹 산하 글로벌 B2B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바바닷컴이 지난 7일 코트라 염곡동 본사에서 KOTRA와 소상공인 온라인 수출 지원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알리바바닷컴은 이후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 해외시장 진출 노하우를 웨비나도 개최했다. 10일부터는 알리바바닷컴 입점 절차와 마케팅 노하우에 대해 1:1 컨설팅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수출형 소상공인 선정 및 입점 △제품 상세페이지 제작 및 스토어 구축 △무역실무 경험이 풍부한 수출전문위원의 수출 컨설팅 △글로벌 셀러 육성 프로그램 등 소상공인 온라인 수출의 A to Z를 코트라와 함께 지원할 계획이다. 알리바바닷컴 앤드루 정(Andrew Zheng) 부대표는 알리바바닷컴 본사가 위치한 중국 항저우에서 온라인으로 협약식에 참가했으며 알리바바닷컴 코리아 담당자들은 현장에서 참석했다. 알리바바닷컴 앤드루 부대표는 협약식에서 '알리바바닷컴은 설립 초기부터 어디에서나 비즈니스를 쉽게 하라를 모토로 삼고 23년간 운영해왔다'며 '한국의 중소기업이 성공적으로 해외 진출하도록 앞으로 코트라와 손잡고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윤태 KOTR
(TGN 대전) 현대자동차가 이베코(IVECO)그룹과 상용차 부문에서 상호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4일 오후 현대차 양재동 사옥에서 이베코그룹과 '공동 기술 및 상호 공급 기회 탐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장재훈 현대차 사장, 마틴 자일링어(Martin Zeilinger) 현대차 상용개발담당 부사장, 게릿 막스(Gerrit Marx) 이베코그룹 CEO, 마르코 리카르도(Marco Liccardo) 이베코그룹 최고 기술 및 디지털 책임자(CT&DO, Chief Technology & Digital Officer) 등이 참석했다. 이베코그룹은 이탈리아 토리노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 36개국에 진출한 글로벌 상용차 전문 기업이다. 이번 협약은 양 사가 글로벌 상용차 부문에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뤄졌다. 양 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전동화 시스템을 포함한 기술,부품,시스템 등의 교차 사용 △신기술,플랫폼 공동 개발,공유 등 상용차 관련 분야에서 상호 협업이 가능한 부분을 살펴볼 예정이다. 부품, 시스템 등의 공동 구매를 통한 효율성 제고 방
(TGN 대전) 작년 한해 동안 전국 건축물 연면적이 잠실야구장 3583개 수준인 9435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1년도 전국 건축물의 동수는 전년 대비 3만 8998동(0.5%) 증가한 731만 4264동, 연면적은 9435만 5000㎡(2.4%) 증가한 40억 5624만 3000㎡으로 집계됐다. 이는 축구장(7140㎡) 기준 약 1만 3000개, 잠실야구장(2만 6331㎡) 기준으로는 3583개에 해당한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은 1만 3745동(4577만 5000㎡) 증가한 203만 5525동(18억 3607만 4000㎡), 지방은 2만 5253동(4857만 9000㎡) 증가한 527만 8739동(22억 2016만 8000㎡)으로 나타났다. 전국 건축물 동수 및 연면적은 2~3년 전 경제상황이 반영되는 경기후행지표로 지난해 건축물 연면적 증가율(2.4%)은 2018~2019년 우리나라 평균 경제성장률(2.5%)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도별 면적을 살펴보면 주거용(46.4%, 188만 2918㎡), 상업용(22.1%, 89만 4675㎡) 건축물의 비율이 가장 많았다. 노후 건축물
(TGN 대전)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8일 서울 대한상의에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러시아 정부의 한국 등 비우호국가 명단 발표에 따라 우리기업들에 미칠 영향을 논의하는 민관 대책회의를 긴급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 7일 러시아 정부가 대(對)러 제재에 동참한 한국을 비롯한 미국, 영국, 호주, 일본, EU 회원국 등 비우호국 48개 명단을 발표함에 따라 우리 기업들의 영향 등을 긴급 점검하고 현장 애로를 듣기 위해 열렸다. 먼저, 여한구 본부장은 러시아 상무관과 무역관을 화상으로 연결해 러 정부의 이번 조치 관련 긴급회의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여 본부장은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대러 제재에 동참하게 됐고, 그 결과 이번 러 정부의 비우호국가 지정으로 인해 현지 진출기업과 수출기업의 경영 애로가 현실화된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면서 '이번 회의를 통해 현지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시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회의에 참석한 정병락 주러 대사관 상무관은 '러 정부의 상응조치는 이미 예상됐던 것으로 비우호국 출신 비거주자의 외화송금 한시적 금지, 대외채무 지불을 루블화로 지급 가능,
(TGN 대전) 정부가 올해 산업혁신기반구축 사업에 1672억원을 투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8일 올해 산업혁신기반구축 사업에 50개 신규 과제(482억원)를 공고하고 65개 계속 과제(1190억원)를 포함해 모두 1672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날부터 한 달 동안 수행기관을 모집하고, 다음 달 말까지 평가,선정을 거쳐 5월부터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대학혁신기반센터, 산업현장 수요대응형 사업을 신설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기업을 지원한다. 산업혁신기반구축 사업은 중소,중견 기업이 직접 마련하기 힘든 R&D 인프라를 대학 및 공공기관에 구축해 기업의 실증, 사업화 등 기술혁신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11년부터 3조 3000억 원을 투자해 전국에 188개 지원센터를 구축하고 8514대의 공동 활용 장비를 도입하는 등 성과를 거뒀다. 대학혁신기반센터는 대학이 지역 네트워크, 인력 등 소프트 파워를 활용해 기업 혁신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종합 지원 플랫폼을 구축해 디자인(제품,패키지 등), 마케팅, 판로개척 지원, 해외시장 분석, 제품시험,분석, 실증,인증, 품질 관리, 시제품 제작 등 기업
(TGN 대전) 경주시, 남원시, 양양군, 울산광역시(남구), 청주시, 하동군이 올해 지능형(스마트) 관광도시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8일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교통연계형 울산광역시(남구) 장생포 고래문화특구, 청주시 문화제조창 등 원도심과 주변 ▲관광명소형 경주시 황리단길 일원, 남원시 광한루 전통문화체험지구 ▲강소형 양양군 서피비치로드, 하동군 화개장터,최참판댁,쌍계사 등 유형별로 각각 2곳씩 6개 지자체를 지능형 관광도시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지능형 관광도시 조성 사업은 특정 관광 구역을 대상으로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관광 서비스를 집약 제공해 여행 편의와 만족도를 높이고 축적되는 관광유형 정보를 분석해 지역관광 콘텐츠와 기반 시설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다양한 지자체가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역 규모와 지역관광자원 특성을 고려해 교통연계형(지역공항, 고속철도 등 보유 지자체), 관광명소형(전국 지자체), 강소형(인구 15만 명 미만 지자체) 유형으로 나누어 공모를 진행했다. 1차 서면평가를 통해 공모에 접수한 40개 지자체 중 후보지 12곳을 선정했으며, 이들이 수립한 세부 사
(TGN 대전) 미국 정부가 지난 8일 우리나라에 대한 해외직접제품규칙(FDPR) 면제 적용을 확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미국 상무부는 이날 한국의 대러 수출통제 동참에 관한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한국의 러시아,벨라루스 FDPR 적용 면제국 포함 방안을 확정지었다. FDPR은 미국 밖의 외국기업이 만든 제품이라도 미국이 통제 대상으로 정한 소프트웨어, 설계를 사용했을 경우 수출을 금지할 수 있도록 한 제재조항이다. 전자(반도체), 컴퓨터 등 7개 분야에 관한 세부 기술 전부가 해당돼 FDPR 면제를 인정받지 못하면 국내 주요 산업 수출에 타격이 불가피 할 수밖에 없다. 양국 정부는 공동성명에서 '미국 상무부의 산업안보국(BIS)은 미국의 러시아,벨라루스 제재 규칙의 해외직접제품규칙(FDPR) 면제국가 목록에 대한민국을 추가했다'며 '대한민국은 유럽연합(EU) 회원국과 일본, 캐나다, 호주, 영국 및 뉴질랜드와 함께하게 됐으며 파트너 국가들에 대한 FDPR 적용 면제를 통해 강력한 수출통제를 이행하기 위한 다자간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고 명시했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한국은 동맹국으로서 러시아에 대한 수출통제를 강화해 우크
(TGN 대전) 정부가 러시아 중앙은행과 국부펀드 및 방크 로시야(Bank Rossiya,러시아 은행)와의 금융거래를 중단하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 7일 보도자료를 통해 '우크라이나 사태 동향 및 美,EU 등 주요국의 대러 제재 조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국제사회의 대러 금융제재에 추가 동참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8일부터 러시아 중앙은행 및 국부펀드와의 금융거래가 중단된다. 다만 농산물 및 코로나19 의료 지원, 에너지 관련 거래 등 미국에서 일반허가를 발급해 예외적으로 거래를 허용한 분야와 은행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준으로 거래가 허용된다. 앞서 미국은 지난달 28일부터 러시아 중앙은행,국부펀드와의 거래를 중단했다. 유럽연합도 지난달 28일부터 러시아 중앙은행과 거래를 중단하고 지난 2일부터는 러시아 국부펀드 관련 프로젝트 참가를 금지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지난 2일 EU가 발표한 7개 SWIFT 배제대상 은행 중 우리 정부의 금융거래 중단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로시야 은행과의 거래중단도 시행된다. 이 은행은 2014년 크림반도 사태 당시에 미국 재무부가 이미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적이 있는 곳으로 우리 정부
(TGN 대전) 법제처가 3월 시행법령을 보기 쉽게 알려드립니다! 3월 알아두면 유익한 주요 시행법령 ◆「전기통신사업법」: 앱 마켓 이용자 보호(15일) 앱 마켓 사업자가 거래상의 지위를 부당하게 이용하여 모바일 콘텐츠 등 제공사업자로 하여금 특정한 결제방식을 사용하도록 강제하는 행위, 앱 마켓 사업자가 모바일 콘텐츠 등의 심사를 부당하게 지연하는 행위 등을 금지함으로써 앱 마켓 산업 참여자의 공정한 경쟁을 촉진하고자 합니다. - 「전기통신사업법」 제22조의9제1항 신설 앱 마켓 사업자는 모바일 콘텐츠 등의 결제 및 환불에 관한 사항을 이용 약관에 명시하는 등 이용자 피해 예방 및 권익 보호 - 「전기통신사업법」 제22조의9제2항 신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또는 방송통신위원회는 앱 마켓 사업자의 앱 마켓 운영에 관한 실태조사 실시 - 「전기통신사업법」 제45의2제1항제6호 신설 통신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 대상에 ‘앱 마켓에서의 이용요금 결제, 결제 취소 또는 환급에 관한 분쟁’을 포함 - 「전기통신사업법」 제50조제1항제9호 신설 앱 마켓 사업자가 거래 상의 지위를 부당하게 이용하여 모바일 콘텐츠 등 제공 사업자로 하여금 특정한 결제방식
(TGN 대전) 번거로운 서류 발급, 이젠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한 번에 해결해 보세요! ◆ 행정서비스 신청, 어떻게 하셨나요? - 여러 공공기관에서 일일이 구비서류를 발급받아 제출해야 하는 번거로움 - 민감한 정보가 담긴 서류 전체를 제출해야 하는 부담 ◆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로 이제부터 내 정보는 내가 직접 골라 보내면 서비스 신청 완료! - 개인(정보주체): 서비스 제공 기관에게 업무 신청 - 서비스 제공 기관: 개인에게 서비스 제공, 마이데이터(PORTAL)에게 데이터 세트 요청 - 마이데이터(PORTAL): 서비스 제공 기관에게 데이터 세트 제공 - 개인정보 보유기관: 마이데이터(PORTAL)에게 행정 정보 연계 *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란? 공공기관에 산재해 있는 내 정보 중 필요한 정보만 내가 직접 골라 공공기관을 방문하지 않고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서비스 - 서비스 신청에 필요한 정보만 모아 마이데이터 묶음 정보로 한 번에 자동 제출 - 필수 정보만 최소한으로 제공해 불필요한 개인정보 유통 방지 ◆ 협업으로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 추진 26개 기관이 보유한 행정 정보 95종을 연계해 공공 마이데이터 묶음정보 서비스
(TGN 대전) 피해 농업인의 신속한 영농 재개, 생활 안정 및 긴급 자금 지원 등 농업인 지원에 총력을 다하겠습니다. 1. 농업인의 신속한 영농 재개 - 봄철 파종용 종자 미확보 시, 피해 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한 정부 보유 볍씨, 씨감자, 육묘·묘목을 농협과 함께 공급 - 민간 농기계 제조업체와 농협 농기계 수리센터를 통해 화재 피해 농기계 무상 수리 제공, 긴급 수요 조사를 거쳐 비닐과 호미, 낫 등 농기구 공급 - 화상, 연기 흡입 등의 피해를 입은 가축에 대해 수의사 진료와 처방 실시, 스트레스 완화제와 생균제 지원 2. 농업인의 생활 및 경영안정 - 이재민 구호용 정부 양곡 무상 공급, 농축산경영자금의 상환 연기 및 이자 면제, 재해대책경영자금과 비닐하우스 등 농업시설 복구에 필요한 자금 지원 - 재해보험 가입 농가 피해 발생 시 사고 접수 후 3일 이내에 현장 조사를 마무리하여 보험금 신속 지원, 농업인이 희망할 경우 추정 보험금의 50% 우선 지급 3. ASF 감염 확산 방지 - 산불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 멧돼지의 이동이 증가할 것에 대비해 우선 인근 지역 양돈농장 차단 방역 강화 - 진화가 완료되는 대로 환경부와 협력
(TGN 대전) 봄철 고농도 미세먼지를 대비해 범부처 합동 선제적 총력대응을 실시합니다! ◆ 연중 고농도 발생 가능성이 가장 큰 시기,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선제적 총력대응을 실시합니다. 최근 3년(’19~’21)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3월에 가장 높았으며, 약 30㎍/㎥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습니다. ◆ 첫째, 계절관리제 현장의 실행력을 제고합니다. - 다량 배출사업장(54개소) 특별 관리 매일 모니터링, 매주 현장점검 - 석탄발전기 가동정지 확대 8~16기 → 17~26기 - 봄철 도로·항만 미세먼지 집중제거 ◆ 둘째, 계절관리제 이행을 강화합니다. - 대형경유차 배출가스 및 공회전 단속 등 확대 운행차 단속 지역 확대 550개 → 1,200개 지점 - 영농폐기물 수거 확대 및 불법소각 방지 영농폐기물 수거 확대 1~2회/주 → 3~4회/주 ◆ 셋째, 고농도 미세먼지를 줄이는 비상저감조치를 강화합니다. - 수도권 예비저감조치 강화 시행시간 연장: 전일 06시~21시 → 전일 06시~익일 06시 - 공공사업장 가동률 80% 이하로 단축 올 봄, 우리 함께 걷고, 끄고, 외쳐요. 푸른 하늘! [뉴스출처 : 환경부]
(TGN 대전) 산불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금융 지원 계획에 대해 중소벤처기업부가 알려드립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경상북도 울진, 강원도 삼척 지역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됨에 따라 산불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신속한 복구 및 경영안정을 위해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자금 및 신용보증 등 정책금융을 지원합니다. ◆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 - 산불 피해 중소기업에게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을 통해 기업당 최대 10억원까지 재해중소기업지원자금을 1.9%(고정)의 저리로 2년 거치, 3년 분할 상환으로 지원 - 기술보증기금을 통한 기술보증 지원은 보증비율을 85% → 90%로 상향하고 보증료율을 0.1%(고정)로 인하하여 우대지원하며, 보증한도는 운전자금은 최대 5억원, 시설자금은 소요자금 범위 내로 확대하여 지원 ◆ 소상공인 정책금융 지원 - 산불 피해 소상공인에게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을 통해 기업당 최대 7천만원까지 긴급경영안정자금을 2.0%(고정)의 저리로 2년 거치 3년 분할 상환으로 지원 - 기존 융자제외업종 중 담배도매업, 모피제품도매업 등 일부 업종에 대해서도 지원하는 등 융자대상 확대 -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한 보증 지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