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 재배지 소독 전 ‘토양 온도·수분’ 확인 필수

2020.04.08 11:00:26

(TGN 대전)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인삼 재배지의 토양 소독(훈증 소독)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알맞은 토양 온도와 수분부터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삼을 한 곳에서 연속적으로 재배하면 뿌리가 썩는 병이 발생하기 쉽다. 훈증 소독은 이 같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독제(다조멧 입제)를 사용해 가스로 토양 병원균을 살균하는 기술이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훈증 소독은 낮은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토양 수분은 20% 내외일 때 효과가 뛰어나다.


토양 온도가 15도(℃) 이하로 낮을 때보다 온도가 높을수록(25℃~30℃) 가스 발생량이 많다. 봄·가을철 토양 온도는 20℃ 내외이고 여름철에는 30℃까지 올라가므로 되도록 고온기에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토양 수분이 20% 내외일 때 가스 발생이 원활하다. 수분이 18% 이하로 적거나 논처럼 너무 많으면(23% 이상) 다조멧 입제의 가스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토양 속에 남아 있다가 인삼을 심고 난 뒤 작물에 피해를 주게 된다.


다조멧 입제는 10아르(a)당 40~60kg 정도를 사용하며 흙 깊이에 따라 작토층(겉흙) 20cm까지 살균할 때는 40kg 내외, 30cm까지 살균할 때는 60kg 내외를 사용한다.


훈증 가스는 위로 올라가는 특성이 있으므로 심토층(속흙층)에 다조멧 입제를 넣으면 작토층 전체를 살균할 수 있다. 다조멧 입제를 심토층에 넣을 때는 두둑 형성기로 두둑을 만든 다음 반 정도 뿌리고, 다시 두둑을 만들고 나머지 반을 뿌린다.


다조멧 입제를 뿌린 뒤에는 폴리에틸렌(PE) 투명비닐로 3주간 덮어두고, 이후 비닐을 제거한 후 3~4회 밭을 갈아 가스를 완전히 빼준다.


훈증 소독 후 길항미생물제(병원균 억제 미생물)를 퇴비와 섞어 10아르(a)당 300kg을 뿌리거나 녹비작물(풋거름작물)을 재배하면 토양 미생물을 복원하고 비옥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현동윤 인삼과장은 “인삼의 이어짓기 피해를 줄이기 위해 토양 훈증 소독을 할 때는 적절한 조건에서 처리 방법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앞으로 태양열 소독, 예정지 관리 방법 등 다양한 소독 방법을 개발하겠다.”라고 전했다.


[뉴스출처 : 농촌진흥청]

김승수 기자 kss@tgnews.co.kr
Copyright @2019 TGN 땡큐굿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TGN 땡큐굿뉴스 l 본사 l 등록번호 대전,아00433 발행인 : 제이컴퍼니(292-31-01204) , 편집인 : 김정은 T 042-483-0203 e-mail : didvk78@hanmail.net ㅣ후원계좌 우리은행 1005-104-638546 김정은 대전 동구 이화로 44, 103호 등록일 2022년 08월 5일 Copyright @2019 [TGN 땡큐굿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